
국민은행 외화통장에 들어있는 달러를 키움증권으로 이체하는 방법이다. 키움증권 주식계좌로 바로 받을 수 없고 주식계좌와 연동된 가상계좌를 만든 후 이체하면 된다. 가상계좌 만들 때 신분증도 필요 없다. 송금할 때 이체수수료도 무료다. 1. 키움증권 가상계좌 만들기 ① 영웅문 S# 어플에 로그인한다. ② 경로 : 화면 왼쪽하단 [ 메뉴 > 환전 > 외화이체/대체 > 외화가상계좌 ] 탭에서 ③ 외화 받을 주식계좌를 선택하고 비밀번호 입력을 하면 [ 등록신청 ] 창이 뜬다. 여권 영문이름 넣고 약관동의 한 뒤 [ 등록 ] 누르면 하단의 국민은행 외화가상계좌번호가 생긴다. 국민은행에서 외화 보낼 때 입력해야 할 계좌번호가 만들어진 거다. 2. 국민은행 > 키움증권으로 달러 이체하기 ① 국민은행 KB스타뱅킹 어플로..

토스뱅크 체크카드 분실신고 된 것을 해제하는 방법이다. 해제할 때는 체크카드도 같이 준비한다. 경로는 아래와 같다. (분실신고 할 때의 경로와 비슷해서 사진은 생략했다.) 찾기 쉬움. [토스 어플 > 오른쪽 하단 전체 > 토스뱅크 > 내 체크카드로 쓴 금액 > 오른쪽 위 상단에 관리 > 스크롤 내려서 분실신고]로 들어가서 분실해제를 풀면 된다. 체크카드 분실신고를 해제하면 OTP도 함께 해제된다. 안내에 따라 체크카드를 휴대폰 뒷면에 인식시켜 주고, 만약 잘 되지 않을 경우 카드에 네모난 칩을 휴대폰 카메라에 가까이 대면 인식이 잘 된다. 해제되면 체크카드, OTP 사용이 가능하지만 교통카드 기능은 2~3일 뒤에나 이용할 수 있다.

토스뱅크 체크카드를 분실했다. 어디서 잃어버렸는지 기억을 더듬는 시간도 아까워 분실신고부터 했다. 1. 분실신고하는 방법(토스어플) ① 토스 앱으로 들어간다. 화면 하단에 있는 [전체 > 고객센터 > 카드분실. 재발급] 메뉴로 들어가 분실신고 한다. ② 체크카드에 OTP기능도 들어가 있다면 OTP도 막아둔다. 이렇게 했는데도 불안해서 토스뱅크 고객센터에 분실신고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면서 알게 된 내용도 적는다. 2. 체크카드분실 신고하고 나면 당연히 체크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OTP 사용도 내 휴대폰에 깔린 토스뱅크와 연결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누군가 습득했더라도 쓸 수 없다. 분실신고가 해제될 때까지 OTP를 사용할 수도 없다. 다만 문제는 토스뱅크 교통카드 기능은 바로 정지를 할 수 없다..
휴대폰과 친하지 못한 내가 자급제폰으로 바꿨다. 반은 성공하고 반은 실패한 자급제폰으로 바꾸면서 알게 된 것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남들은 휴대폰을 잘도 바꾸던데, 나는 유튜브를 봐도 모르겠고 내 상황과 맞는 영상을 찾기도 힘들어 포기했다. 결국 만약에 사태에 대비해 중요한 것들을 백업해 두었고, 한 땀 한 땀 수작업으로 어플 깔아야 하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말이 딱 맞다. 1. 자급제폰 바꾸기 1) 인터넷으로 자급제폰(공기계)을 산다. 2) 기존 휴대폰의 유심칩을 빼서 새로 산 휴대폰(자급제폰)에 끼우면 된다. 문제는 그냥 끼우기만 하면 연락처, 사진, 이용하던 어플이 하나도 없는 초기 상태의 깨끗한? 휴대폰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래의 것들을 작업해 뒀다. 2..

3개월 정도 지하철 정기승차권을 이용해 봤다. 생각나는 대로 몇 자 적어보자. 1. 지하철 정기승차권을 이용해보려고 한다면? ① 출퇴근 시 지하철 타고 버스로 환승해야 하는 사람은 패스한다. 이 카드는 지하철만 탈 수 있는 카드다. ② 월 교통비를 따져본다. 현재 내 교통비가 월 얼마인데, 정기승차권 이용 시 얼마가 절약되는지 비교해 본다. 이용구간에 따라 충전 금액이 달라지는데 기본금액은 61,600원이다. 한번 충전하면 한 달 동안 60회를 쓸 수 있지만, 한 달 동안 60회를 다 못 쓸 경우 소멸된다. 그래서 지하철을 많이 타지 않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정기승차권 구입이 손해일 수 있다. 한 달 출퇴근하고도 잔여 횟수가 남기 때문에 주말 외출 시 써먹으면 좋다. ③ 꼭 서울 ↔ 서울만 탈 수 있는 것..

네이버 2단계 인증을 설정하게 되면 내가 휴대폰으로 로그인을 허락해야만 로그인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내 아이디로 로그인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네이버 2단계 인증 설정하는 방법을 적어보자. 네이버 아이디 2개를 사용 중인데 설명하기 쉽도록 첫 번째 아이디를 A, 두 번째 아이디를 B라고 하겠다. 1. 네이버 2단계 인증 설정하는 방법 ① A 아이디로 로그인 한 뒤 네이버 ID 옆에 자물쇠 모양으로 들어간다. ② 「보안설정 > 2단계 인증 > 설정」으로 들어간다. ③ 이때 휴대폰 네이버 앱에도 A아이디로 로그인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을 눌러 비밀번호 재확인해준다. ④ 사용 중인 휴대폰 기종이 보이는데 선택 후 「다음」을 누른다. 휴대폰으로 인증 허락 알림이 오면 [예]를 누른다. 2단계 ..

병원 다녀온 후 실손보험금 청구하는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 자주 있는 일이 아니다 보니 매번 헷갈리기 일쑤다. 한화생명 실손보험금 청구하는 방법 먼저 한화생명 고객센터 1588-6363으로 전화를 걸어 보험 청구를 할 수 있는지 확인부터 한다. 신청이 가능하다면 병원서류를 준비해 보험사에 청구하면 된다. 1. 병원 서류 ① 통원일자별 진료비 영수증 + 진료비세부내역서 ② 병명확인서류 ( 진료소견서, 통원확인서, 진료기록부, 의사처방전 중 1장 ) ③ 약국 영수증 진료 영수증과 진료비 세부내역서는 수납하면 받는 서류다. 중요한 서류는 병명확인서류인데 통원확인서로 준비했다. 보험설계사에게 듣기로 보험 청구할 때 병명코드 있는 서류가 가장 확실하다고 들었다. 약값은 내 경우 8,000원 공제하고 보험금이 나..

일본 환율이 떨어져서 엔화를 사봤다. 엔화가 싸졌을 때 사뒀다가 올랐을 때 팔아보려는 계획이다. 경험 삼아 소액으로 떨어질 때마다 엔화를 사보자. 1. 일본환율 엔화 조회 기간을 10년 놓고 봤더니 확실히 많이 떨어졌다. 환율 계산기를 이용해 일본 엔화 얼마일 때 한국 돈 얼마가 필요한지 가늠해 봤다. 2. 엔화 환전하는 방법 국민은행에 원화계좌와 외화계좌 모두 가지고 있다. ( 타행 외화계좌도 가능 ) 외화 계좌가 없다면 외화통장부터 개설해야 한다. 외화 통장 계좌 하나만 있으면 달러도 엔화도 모두 사 둘 수 있다. 국민은행 스타뱅킹 앱 이용하기 국민은행 스타뱅킹 어플 로그인 후 오른쪽 화면상단 전체메뉴로 들어간다. 경로 : 뱅킹 > 외환 > 국내외화이체/예금입출금 > 외화이체/예금입출금으로 들어간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제출해야 할 서류 중 하나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다.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발급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자. 1.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하기 ① 정부24에 접속 후 로그인한다. ② 자주 찾는 검색창에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을 입력한다. ③ '세목별과세증명' 발급으로 들어간다. ④ '과세물건지 주소선택'은 세금 매기는 대상의 주소를 말한다.예를 들면 임대업을 하는 사업자의 경우 임대하는 사업장의 주소를 검색해서 입력하면 된다. 과세 연도는 2022년으로 넣어주고, 사용목적은 '종합소득신고용'이라고 적었다. 과세목록조회'를 누른다. ⑤ 과세내역 목록이 뜨면 체크해주고 확인 누른다. ⑥ '민원신청하기' 누른다. ⑦ 민원신청이 완료되면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뜬다. 문서..

「정부 24」에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하려고 하는데 '민원신청내역수정'이라고만 뜨고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질 않았다. 해결 방법을 적어보자. 1. 네이버 웨일로 접속해서 들어가지 않기 간혹 네이버 웨일로 「정부 24」에 접속할 때 오류가 난다고 한다. 네이버 말고 크롭으로 접속한다. 2. 크롬으로 접속하기 크롬을 통해 「정부 24」에 들어가기 전, 설정해줘야 하는 것이 있다. ① 크롬 창을 열어 화면 오른쪽 상단 점 3개 > 설정으로 들어간다. ②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사이트 설정으로 이동한다. ③ 팝업 및 리디렉션에 '사이트에서 팝업을 전송하거나 리디렉션을 사용할 수 없음'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변경해 주면 된다. ④ '사이트에서 팝업을 전송하고 리디렉션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 바꿔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