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정보47 임금체불 신고 취하하기 (임금체불 신고 후기) 임금체불로 노동청에 신고 후 못 받았던 퇴직금을 받았다. 그동안 마음고생 한 것을 생각하면 취하하기 싫지만 입금받으면 취하하겠다고 약속한 이상 안 해줄 수도 없는 노릇이라 취하했다. 이번 일로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다. 몇 자 적어본다. 1. 임금체불 취하하는 방법① 입금이 들어오면 확인 후 근로감독관에게 알린다. (입금받기 전 되도록 취하해주지 말 것!)② 취하신청 문자를 보낸다.( 담당 내선 전화번호로 문자 발송이 가능함)문자내용 : 진정인 아무개는 체불금액 전액을 지급받았기에 사건을 취하합니다.③ 이렇게 문자를 보내면 처리 후 사건이 종결된다. ④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홈페이지에서 [나의 민원]으로 들어가 [민원취하서]를 제출해도 된다. 2. 임금체불 신고 후기 이것저것① 고민하지 말고 임금체불 .. 2024. 6. 17. 직장인(근로소득자)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하기 (가산세 계산) 2023년 정기 신고 후, 2022년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를 했다. 정기신고와 다른 점이라면 가산세 부분이었다. 가산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몰라 헤맸다. 유튜브 찾고, 블로그도 찾고, 세무서에 전화로 확인도 해보고... 더는 쳐다보기 싫을 정도로 많이 알아본 뒤 신고를 마쳤다. 신고했던 내용을 정리한다. 1. 내가 하려고 하는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① 2022년도 구글 애드센스 수입을 이제라도 신고하려고 함② 2022년도 근로소득 있었음 (회사에서 연말정산 완료)③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문 당연히 없음2.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1) 2022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부터 출력했다. 경로) My홈텍스 > 연말정산 / 지급명세서 >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2) 경로) 로그인 > 세금신고 .. 2024. 6. 7. 임금체불 신고 노동청에 진정서 넣기 노동청에 퇴직금 진정을 넣었다. 며칠 전 출석조사를 받고 왔는데 이런 일을 겪게 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 봤다. 1. 받지 못 한 퇴직금회사 사정이 어렵다고 퇴직금이 들어오지 않았다. 약속을 어기는 것은 다반사고, 마땅히 받아야 하는 돈인데 언제 입금되는지 매번 물어보는 것도 한계에 다다랐다. 입금이 늦어질수록 다 못 받을 수 있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나라에서 받는 걸로 방향을 바꾸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겠다 싶었다. 그래서 노동청에 진정을 넣었다. 퇴사 후 10개월 만이다. 퇴사하고 2주가 지나면 노동청에 진정을 넣을 수 있는데 나도 많이 참았다. 2. 간이대지급금 받기 위한 절차나라에서 받겠다고 한 것이 간이대지급금이라는 거였다. 이걸 받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걸쳐야 했다. 1단계 :.. 2024. 6. 2. 엔화를 원화로 바꾸기 (엔화 환전) 작년 6월쯤 엔화를 샀다. 환테크라고 하기엔 거창하고 경험 삼아 조금씩 사둔 것이 있었다. 매입한 엔화의 평균 환율은 905원. 그리고 대략 1년이 지난 지금은 860원대다. 비쌀 때 사고, 쌀 때 팔았다. 남들은 환율이 떨어지니까 일본여행 갈 때 쓴다고 엔화를 사고 있는데 나는 팔고 있다. 물론 적은 돈이라 손실이 크진 않지만 단돈 만원이라도 손해를 보면 건 즐겁지 않다. 환율이 더 오를지 떨어질지 모르지만 일단 돈이 필요해서 원화로 환전해 버렸다. 환테크는 '땅에 돈을 묻어둔다' 생각하고 접근해야 하나보다. 내 취향과 안 맞는 걸로. 예전에 포스팅 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을 듯 해서 간단하게만 적어본다. 1. 엔화에서 원화로 바꾸는 방법국민은행 스타뱅킹 어플에서 진행한다. 경로) 오른쪽 상단 .. 2024. 5. 29. 이전 1 2 3 4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