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하기/차곡차곡 연금

연금저축펀드 장, 단점 알아보기

by 쑤쑤 2021. 5. 29.

연금저축펀드 장,단점 알아보기

세액공제를 해주는(세제적격) 연금저축 신탁,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중 연금저축펀드에 대해 장단점을 적어보려 한다.

연금저축펀드는 연금계좌을 만들어서 이 계좌에 MMF, 채권형, 주식형 펀드, 혼합형 펀드 등 내가 원하는 상품을 담을 수 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돈을 넣기만 해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입금한 돈은 예수금 잔고로 표기되고, 펀드 등의 매수는 내가 하고 싶을 때 하면 되는 거다. 나의 경우 한국포스증권에 연금계좌가 있는데 화면을 보면 이해가 좀 쉬울 것 같아 캡처해봤다.

한국포스증권 연금저축펀드 계좌 일부


연금저축펀드의 특징?

최소 5년을 불입하고 55세 이후에 최소 10년 동안 나눠서 받아야 한다. 연금을 탈 때는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과 수익(이자)에 대해 연금소득세 (3.3% ~ 5.5%)를 내게 되고, 중도해지하게 되면 페널티로 기타 소득세 16.5%가 부과된다.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을 제외하고 개인이 준비해서 타 먹는 연금이 연 1,200만 원이 초과 할 경우 종합소득세 부과대상이 되기 때문에 수령할때 1,200만원 이하로 해주는 게 좋다.


연금저축펀드의 장점?

① 시장이 우상향 한다는 전제로 장기 운용하여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있다.
( 물론 손실이 날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② 세액공제 혜택과 과세이연 효과가 있다.
(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 환급을 받을 수 있고, 발생한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나중에 내게 된다.)
③ 보수 수수료가 있지만 연금펀드 계좌의 자체 수수료는 없다.
④ 연금액을 내 마음대로 넣을 수 있다.
( 내가 원하는 금액과 시기를 정할 수 있다. 돈이 없을 땐 적게 넣고 여유가 될 땐 많이 넣을 수 있어 납입이 자유롭다.)


연금저축펀드의 단점?

원금보장이 안된다. 불입하는 동안에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연금을 탈 시기에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항상 존재한다.
② 수익과 손실을 내가 관리해야 한다.


원금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장기간 운용해서 수익을 극대화시키고 싶은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불입하는 기간, 거치하는 기간, 연금 타 먹는 기간까지 생각하면 장~기로 운용해야 한다.

시간은 내 편이라는 생각으로 조금씩 불입해서 불려 가야 할 것 같다.

최고의 노후 준비는 강제적~으로 꾸준히~ 매월 일정 금액을 불입하는 거라고 하는데 그게 잘 안돼서 문제다. 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