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하기/차곡차곡 연금

내 모든 연금 확인해보기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by 쑤쑤 2021. 5. 19.

내가 노후에 받게 될 연금은 얼마나 될까? 금융감독원 통합 연금포털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해서 확인해봤다. [금융감독원]이라는 어플도 가능하다고 해서 앱 깔려고 들어가 봤더니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지 욕이 더 많길래 그냥 PC로 접속해 홈페이지에서 진행했다.

통합 연금포털에 접속 후 회원가입을 한다. 만약 조회 서비스 신청이 처음인 경우 연금 조회가 바로 되진 않고 3일(영업일)이 걸린다고 한다.

통합연금포털 내 연금조회

로그인해서 내연금조회.재무설계 - 내 연금 조회를 하면 각 금융사별로 가입되어 있는 모든 연금들이 모아져서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내역이 나온다. ( ex: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공무원연금 등)

통합연금포털에서 내 연금조회 중 국민연금 

예상 연금수령액이 보이는데 이 금액은 현재 납부하는 연금액을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에서 뽑은 금액이다.
계약 상세에 들어가면 납부월수, 납부총액 등의 상세내역을 볼 수 있다.
만약 불입액이 줄거나 납입기간을 채우지 못 하면 예상 연금이 당연히 줄어들겠지?

통합연금포털에서 내 연금조회 중 퇴직연금 DC, IRP

퇴직연금도 다른 은행의 연금이 모두 불러와지고 현재 적립금이 보여지는데 계약 상세를 조회하면 예상 연금적립액도 볼 수 있다. 퇴직연금 DC의 경우 예상액을 현재 납입되는 연간 회사부담금과 과거 납입액을 활용해서 추정한 금액으로 매년 3.2%씩 급여가 인상되는 것을 가정해서 향후 예상 납입액을 추정해 나온다.

통합연금포털에서 내 연금조회 중 개인연금 

개인연금도 마찬가지로 현재 적립금이 보이고 계약상세에 들어가서 예상 적립액을 볼 수 있다. 개인연금상품 가입 시 납입기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만 60세까지 납부하는 것을 가정하고, 매월 납입금액이 없을 때는 직전 3년간의 월평균 납입액을 향후 계속 납입할 것으로 가정한 금액이 예상 연금적립액으로 나온다.

주택연금도 있다면 이와 마찬가지로 나오겠지?. 연금 상품을 볼려면 해당 은행별로, 증권사별로 들어가야 해서 불편한데 통합 연금포털에서 한 번에 취합이 되니 보기가 수월했다. 예상 연금수령액은 말 그대로 예상이라서 참고용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통합연금포털에서 연금가입부터 개시신청까지 한번에 원스톱 서비스(가입,이체,해지,개시)를 제공한다고 하던데 아직은 아닌 것 같다. 그렇게 된다면 완전 편할텐데.. ㅋㅋ

차곡차곡 돈 모아서 연금 굴려 노년엔 니나노~~ 놀고 싶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