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때문에 국민은행에 가입했던 IRP와 회사에서 불입해주는 기업은행 IRP(DC형)의 수익률이 너무 낮아서 올해 5월경에 운용상품을 변경하고 약 4개월 정도 지났다. 수익률이 어떻게 변했는지 점검해봤다.
국민은행에서 가입한 IRP의 수익률
변경 전 4% → 변경 후 17% (13% 상승)
확인 경로 : 국민은행 홈페이지 로그인 - 퇴직연금 - MY퇴직연금
회사가 불입해주는 기업은행 IRP(DC형) 수익률
변경 전 2% → 변경 후 23% (21% 상승)
확인 경로 : 기업은행 홈페이지 로그인 - 퇴직연금 - 자산관리 기간별 운용내역 조회 - 조회 기간 설정
조회 기간 설정에서 내가 입사한 날로 조회 기간을 설정하면 되는데, 만약 집을 사는 등의 중간정산을 받은 경우라면 정산받은 지급 날짜 이후로 설정해야 정확한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다. 언제 받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확인 경로) 퇴직연금 - 지급신청/조회 - 지급 결과 조회에서 볼 수 있다.
회사에서 돈이 없다고 퇴직연금이 밀린 상태라 운용상품 변경 후 추가 불입이 없는 상태였고, 개인이 가입한 국민은행 IRP에도 추가 불입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변경 시 퇴직연금 원금 그대로인 상태에서 4개월 만에 수익률이 많이 올라온 것이다. 물론 운이 따른 결과지만 운용상품을 변경하지 않았더라면 수익률은 여전히 2% 전후였을 것이다.
식물에 물도 주고 관심도 줘야 잘 자라듯, 연금도 관심을 가져야 잘 클 수 있다. ^^
회사에서 납입해주는 퇴직연금이 DC형인 경우는 꼭 운용상품이 뭘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혹시 정기예금 같은 상품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운용상품을 꼭 바꿔보길~~
확인 순서
1. 회사 담당자에게 어느 은행으로 퇴직연금이 들어가는지 물어본다.
해당 은행의 개인 인터넷뱅킹에 접속해서 위 확인 경로로 들어가서 보면 된다.
만약 수익률이 낮다면 운용상품을 바꿔서 수익률을 올려보자.
2. 운용상품 확인하는 법
퇴직연금 - 자산관리 - 상품운용(매매) 내역 조회
3. 운용상품 변경방법
퇴직연금 - 자산관리 - 매수 예정 상품/보유상품 변경
자세한 상품 변경 방법은 전에 포스팅한 글이 있어 링크 걸어둔다.
2021.05.11 - [재테크 공부하기/차곡차곡 연금] - 회사 퇴직연금 DC형(기업은행) 운용상품 변경하기
'재테크 공부하기 > 차곡차곡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신청하는 방법(신청서 작성 후 주민센터 방문하기) (0) | 2022.06.29 |
---|---|
퇴사 후 퇴직연금(DC형) 수령시 이럴땐 IRP 계좌 안 만들어도 돼요~ (0) | 2021.12.29 |
TDF펀드 알아보기 - 은퇴시기에 맞춰 펀드가 알아서 자산배분을 해~ (0) | 2021.09.03 |
내가 연금 가입한 적이 있었나? 연금 찾아보기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0) | 2021.07.17 |
연금저축신탁 이전하는 방법(한국포스증권 FOSS앱) (0) | 2021.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