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계좌 만들고 관리 안 하면 어디서 가입했는지 까먹을 수밖에 없다. 막상 연금 수령할 나이가 됐는데 '가입했던 연금이 있었나?, '은행은 어디더라?' 기억이 가물가물할 때 여길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 www.payinfo.or.kr ) 어카운트 인포
![](https://blog.kakaocdn.net/dn/GmTyT/btq9KnG8b9B/dZTo6N2Kb2ceBNdkE4HTQ0/img.png)
홈페이지 접속해서 「내 계좌 한눈에」 → 전체 동의하기 → 정보 입력화면으로 이동 → 주민번호 입력 → 공인인증서 로그인 → 본인 확인 휴대폰 인증 → 계속 진행
![](https://blog.kakaocdn.net/dn/mIIj4/btq9PTqT9tq/ZiIYbvZToGKokA5g9ilx10/img.png)
여기서 은행명 선택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아무 은행이나 선택하면 되고,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인증번호를 받으면 된다. 은행에 등록되어 있을 휴대폰 번호랑 인증받을 휴대폰 번호가 동일해야 인증번호가 온다.
![](https://blog.kakaocdn.net/dn/bUfmqB/btq9R5xwvCt/Y35b6Tfc1GJqJRSXBCnXqK/img.png)
인증을 마치면 보유하고 있는 계좌내역이 보인다. 은행권, 제2금융권, 증권사별로 나뉘어 있는데 이왕 들어온 김에 한 번씩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좋다. 아마도 생각나지 않는 계좌가 분명 있을 거다. ㅎㅎ
(사용하지 않는 계좌는 해지하고, 몰랐던 통장에 돈이 들어있다면 웬 횡재야~~ㅋㅋ)
비활동성 계좌에 신탁이 뜰 경우 조회를 눌러서 상세내역을 보면 만기가 지난 계좌가 보일 텐데 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을 누른다.
이체받을 내 은행과 계좌번호를 입력 후 확인 → 다음 단계로 이동을 누른다. ( 서민금융진흥원으로 기부할 수도 있음 ) 해지 신청이 완료되면 입력한 계좌로 돈이 바로 들어온다. 해지 명세서를 보면 이자랑 세금 확인도 할 수 있다.
은행권 구개인연금저축계좌 해지 신청 시간은 영업일 09:00 ~ 16:00까지 가능하다.
지금 기록하는 연금신탁 해지는 금액이 적어서 해지 신청한 케이스다. 납입한 원금이 120만 원 미만이거나, 납기 만기일이 1년이 지난 경우 해지할 수 있다.
연금신탁금액이 크다면 해당 은행에 연금으로 수령 신청을 하거나, 옮기고 싶은 은행에 문의해 다른 금융기관으로 연금을 옮겨도 된다. (=계좌 이전)
계좌조회뿐 아니라 카드 조회, 포인트 현금화, 자동이체 등 이용해 보면 좋을 메뉴들이 많아 둘러보면 유용할 것 같다.
'재테크 공부하기 > 차곡차곡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용상품 변경한 내 퇴직연금 IRP 수익률 확인하기 (0) | 2021.09.14 |
---|---|
TDF펀드 알아보기 - 은퇴시기에 맞춰 펀드가 알아서 자산배분을 해~ (0) | 2021.09.03 |
연금저축신탁 이전하는 방법(한국포스증권 FOSS앱) (0) | 2021.06.26 |
근로복지공단에서도 퇴직연금 가입 할 수 있대요 (0) | 2021.06.04 |
퇴직연금 핵심만 간단히 정리하기 ( dc형, db형, irp ) (0) | 2021.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