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하기/차곡차곡 연금

내가 연금 가입한 적이 있었나? 연금 찾아보기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by 쑤쑤 2021. 7. 17.

연금계좌 만들고 관리 안 하면 어디서 가입했는지 까먹을 수밖에 없다. 막상 연금 수령할 나이가 됐는데 '가입했던 연금이 있었나?, '은행은 어디더라?' 기억이 가물가물할 때 여길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 www.payinfo.or.kr ) 어카운트 인포

계좌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 화면

홈페이지 접속해서 「내 계좌 한눈에」 → 전체 동의하기 → 정보 입력화면으로 이동 → 주민번호 입력 → 공인인증서 로그인 → 본인 확인 휴대폰 인증 → 계속 진행

어카운트인포 본인확인 휴대폰인증 화면

여기서 은행명 선택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아무 은행이나 선택하면 되고,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인증번호를 받으면 된다. 은행에 등록되어 있을 휴대폰 번호랑 인증받을 휴대폰 번호가 동일해야 인증번호가 온다.

내 계좌 한눈에 은행별 계좌내역 화면

인증을 마치면 보유하고 있는 계좌내역이 보인다. 은행권, 제2금융권, 증권사별로 나뉘어 있는데 이왕 들어온 김에 한 번씩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좋다. 아마도 생각나지 않는 계좌가 분명 있을 거다. ㅎㅎ
(사용하지 않는 계좌는 해지하고, 몰랐던 통장에 돈이 들어있다면 웬 횡재야~~ㅋㅋ)

비활동성 계좌에 신탁이 뜰 경우 조회를 눌러서 상세내역을 보면 만기가 지난 계좌가 보일 텐데 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을 누른다.

이체받을 내 은행과 계좌번호를 입력 후 확인 → 다음 단계로 이동을 누른다. ( 서민금융진흥원으로 기부할 수도 있음 ) 해지 신청이 완료되면 입력한 계좌로 돈이 바로 들어온다. 해지 명세서를 보면 이자랑 세금 확인도 할 수 있다.

은행권 구개인연금저축계좌 해지 신청 시간은 영업일 09:00 ~ 16:00까지 가능하다.

지금 기록하는 연금신탁 해지는 금액이 적어서 해지 신청한 케이스다. 납입한 원금이 120만 원 미만이거나, 납기 만기일이 1년이 지난 경우 해지할 수 있다.

연금신탁금액이 크다면 해당 은행에 연금으로 수령 신청을 하거나, 옮기고 싶은 은행에 문의해 다른 금융기관으로 연금을 옮겨도 된다. (=계좌 이전)

계좌조회뿐 아니라 카드 조회, 포인트 현금화, 자동이체 등 이용해 보면 좋을 메뉴들이 많아 둘러보면 유용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