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받으려고 가입했던 연금저축보험을 증권사로 옮겼다. 5년짜리 불입기간이 끝나서 그냥 가지고만 있었는데.. 우편으로 날아온 보고서를 보니 아름다운? (1%대) 수익률에 수수료는 많이 떼어 갔다.
계좌이체(이전)제도라고 해서 연금을 옮길 수 있다.
보험회사 → 증권회사로 이전하거나, 증권회사 → 보험회사로 이전할 수 있다.
연금저축보험 → 연금펀드로 이전하는 방법
1) 보험회사 콜센터에 전화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연금저축보험이 증권사로 이전 가능한지 물어보기
이때 이전 수수료가 있는지, 이전하게 되면 얼마가 넘어오는지도 물어본다.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내가 불입한 금액보다 이전금액이 적을 수 있으니 금액 확인 필수다.
떼이는 수수료가 많다면 고민이 좀 될 것 같다.
2) 증권사 정하기
한국포스증권사를 이용하고 있어서 여기서 진행했다.
어렵게 연결된 고객센터 상담원에게 너무 기초적인 것까지 (ex:기산일) 물어봤더니 목소리가 점점 사무적(?)으로 변하면서 빨리 통화를 끊고 싶어하는 눈치였다. ㅋ
아무튼 요점은 먼저 새로운 계좌를 만들고 난 후에 이전 신청해야 한단다.
펀드슈퍼마켓 홈페이지에서 하려고 했는데 FOSS앱에서 계좌(이전용)를 만들라고 안내 문자를 보내줬다.
3) 계좌 개설하기
계좌를 만들때 2개의 계좌가 만들어진다.
하나는 계좌번호 중간에 (10)이라는 일반 계좌와 (20)이라는 연금계좌가 만들어지는데
보험회사에서 가져오게 되는 돈이 (20)계좌로 입금된다.
4) 가져오기 신청
보험회사의 연금저축보험 증권번호 등의 기타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때 지점명을 물어본다.
난 고객센터 연락처를 기재했다. 가져오기 등록을 마치면 보험회사에서 나한테 확인전화가 온다. (난 신청 다음날 전화가 왔다)
연금이전 신청한게 맞는지 확인하고 간단한 안내를 해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 만든 계좌로 돈이 들어온다.
5) 입금 확인
입금이 되면 안내문자가 오지만, 내 눈으로 확인이 돼야 안심이 되는 타입이라 ㅋㅋ
FOSS앱에 접속해서 확인하거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돈이 들어왔는지 확인하면 연금가져오기는 끝난다. 예치금이라고 표기 되어 있는 돈을 볼 수 있다.
'재테크 공부하기 > 차곡차곡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개인형 퇴직연금) 알아두기 (0) | 2021.05.16 |
---|---|
무주택자 집 살때 퇴직연금 DC형 중도인출 신청 가능 (0) | 2021.05.13 |
퇴사 후 퇴직연금 DC형 수령 신청하기 (0) | 2021.05.12 |
회사 퇴직연금 DC형(기업은행) 운용상품 변경하기 (0) | 2021.05.11 |
회사에서 불입해주는 퇴직연금 확인하기 (0) | 2021.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