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월 퇴직연금 운용상품을 예금과 펀드로 변경했었는데 역시나 손실 중이다. 손실 난 펀드는 건들지도 못하겠고, 예금으로 운용했던 것을 변경하려고 한다. 예전 꺼는 예금 금리가 낮았기 때문에 요즘 나온 예금상품으로 변경해서 손실액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해서다.
변경하는 순서는 이렇다.
1. 현재 상품별 수익률 확인하기
2. 수익률이 저조한 상품은 매도하고
3. 금리가 높은 상품을 매수한다.
1) 내 운용상품 수익률 확인방법 (PC버전)
[경로 : 기업은행 개인뱅킹 > 로그인 > 퇴직연금 > 상품운용 현황 조회 > 자산 세부내역 조회]
내 운용상품들의 금리(수익률)와 금액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화면 일부를 캡처한 것인데
2021년도에 매수했던 정기예금들은 금리가 1.5~1.7%대였고, 아직 만기일도 한참 남아있는 상태다. 금리가 낮은 정기예금 상품을 매도하고 요즘 나온 높은 금리의 정기예금으로 매수하려고 한다.
( 우리은행, 외환은행은 만기가 되어 상품이 재설정된 것 같다. 금리가 높아졌다. )
[기간별 운용내역 조회] 메뉴에서도 운용상품 현황을 볼 수 있으나, 상품별 수익률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화면에서 보는 게 편했다.
2) 상품 변경하기
상품 변경은 매도할 상품을 골라 매도하고, 새로운 상품을 매수하면 된다.
[경로 : 퇴직연금 > 퇴직연금 상품 변경]으로 들어가면 여러 가지 메뉴가 보인다.
앞으로 불입될 퇴직연금의 상품도 등록할 수 있고, 만기가 돌아오는 상품을 변경(예약) 할 수 있는 메뉴 등 기존보다 관리할 수 있는 메뉴가 많이 늘어 있었다. 퇴직연금 ETF까지도 거래가 가능하다.
내 경우 적립되어 있는 퇴직연금의 상품을 변경하려는 거라서 [현재까지 적립된 금액 운용 변경] 메뉴에서 변경했다.
① 운용상품 선택 시 유의사항 투자성향 체크하기
② 금융소비자 유형 확인하기
3) 매도 상품 선택하기
위 그림과 같이 운용 중인 매도 상품들이 보인다.
이 중 매도할 상품을 고른 후 [선택]에서 [전액]을 선택하면 매도금액이 자동으로 뜬다.
4) 매수 상품 고르기
예금 상품을 찾을 거라 [원리금 보장상품] > [금리] 순으로 들어가 상품을 찾았다.
아래와 같이 매수할 수 있는 상품들이 보이는데 여기서 매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페퍼 저축은행 정기예금 1년짜리 6.01%로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 예금도 1인당 5천만 원까지 원금보장이 된다고 해서 이 상품으로 선택했다.
매수 상품을 선택한 후 위 그림과 같이 비율을 넣어준다. 매도한 전액으로 1개의 상품만 매수한다면 [100]% 의 비율을 넣어주면 되고, 여러 개의 상품으로 쪼개고 싶을 경우 비율의 합이 100%가 나오도록 숫자를 넣어주면 된다. 예상 매수금액은 자동으로 뜬다.
저축은행 상품을 선택하면 [저축은행 한도조회]하라는 메시지가 뜨는데 설명을 읽고 확인 후 변경 신청하면 된다.
변경 신청 후 [운영 변경내역 조회/취소] 메뉴에서 변경한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다.
기업은행 i-ONE뱅크 어플에서 확인하는 경로
1) 내 운용상품 수익률 확인하기
i-ONE Bank > 로그인 > 오른쪽 상단 작대기 3개 전체 메뉴 > 뱅킹 > 퇴직연금 > 퇴직연금 조회 > 내 퇴직연금 조회 > 상품 현황 > 보유상품 현황
2) 상품 변경
퇴직연금 > 퇴직연금 상품 변경
기업은행 홈페이지에서와 마찬가지로 매도 상품 선택하고, 매수할 상품을 골라 변경 신청하면 된다.
'재테크 공부하기 > 차곡차곡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은행 IRP 해지하는 방법 ( 은행에 가야 할때와 내가 직접해도 될때 ) (0) | 2023.02.24 |
---|---|
회사가 폐업 했을 때 퇴직연금 신청하는 방법 (0) | 2023.02.11 |
퇴직연금 DC형 중도인출 할 수 있는 사유들과 필요한 서류들 (0) | 2022.07.29 |
퇴직연금(DC형) 지급신청 전 수익률 확인해보기 (0) | 2022.07.04 |
기초연금 신청하는 방법(신청서 작성 후 주민센터 방문하기)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