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공부하기77 당근이 뭐예요? 쓰지 않는 물건 당근마켓(중고거래)에 사고팔기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처럼 중고 물건을 사고팔고 하는 어플이다. 당근 마켓 어플 깔고 동네 인증을 하면 내가 살고 있는 동네 주변 사람들과 중고거래를 할 수 있다. 어차피 동네 사람이라고 해도 쌩~판 모르는 사람인 건 마찬가진데.. 그래도 어느 동네 사람인지 나오니까 좀 안심? 이 되는 그런 기분은 무시할 수 없다. ㅋㅋ 팔고 싶은 물건을 휴대폰으로 찍어 어플에 올리면 되니까 물건 등록이 편하다. 좋은 물건을 싸게 올리면 톡이 바로 오기도 한다. 내가 올린 물건에 하트를 받을 수도 있다. 하트 받는다고 물건이 잘 팔리는 것도 아닌데 하트를 받으면 괜히 기분이 좋아진다. 재밌는 건 내가 판매한 물건에 후기가 남겨지기도 하고 구매자들이 매너 평가도 해 줄 수 있다. 직거래나 택배거래 모두 가능하다. 직거래.. 2021. 5. 17. 국민은행 퇴직연금 IRP(개인형 퇴직연금) 수익률이 왜 이럼? 연말정산 환급받으려고 2019년 12월에 부랴~부랴~ 은행에 IRP를 가입했었다. 지금 같았으면 증권사에 가입했을 테지만 그땐 편한? 급여 나오는 은행에 IRP를 개설해 돈을 넣었다. 돈 넣고 신경 쓰지 않다가 문자로 수익률 안내가 왔는데 원금보다 줄었다. 기다리면 다시 원금이 회복되긴 해도 수익이 잘 안나~~ㅠㅠ 안 되겠다 싶어 운용상품을 해외 주식형펀드로 변경했었다. 퇴직연금 메뉴에 들어가서 [MY 퇴직연금]에서 현재 수익률 확인 가능하고 [상품변경] 메뉴에서 운용상품을 변경할 수 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운용상품을 팔고(매도) 다른 상품을 사면(매수)된다. 전에 포스팅했던 회사 퇴직연금(DC형) 운용상품 변경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운용상품을 바꾼지 6개월 정도밖에 안되긴 했지만, 개설할 때 2백만.. 2021. 5. 17. IRP (개인형 퇴직연금) 알아두기 노후 자금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인이 IRP 계좌를 개설해서 돈을 저축하는 것을 말한다. 1년에 700만원까지 불입이 가능하고 매년 불입금액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말정산 받을 수 있다.) 만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타 쓰면 되는 연금상품이다.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받기 위해 IRP 계좌를 만들기도 하고,( 꼭 퇴사할때 만드는게 아니라 재직중 아무때나 만들어도 됨) 노후자금을 저축하려고 IRP계좌를 개설하기도 한다. IRP계좌는 소득이 있으면 모두 가입이 가능하다. (직장인, 개인사업자, 공무원 등) 개인이 납입할 수 있는 연금 한도는 연 1,800만 원이다. ( ex: 연금신탁 300만 원 + 연금펀드 300만원 + 연금보험 500만 원 + 은행 IRP300 + 은행 IRP 400만 원) 여기서 .. 2021. 5. 16. KB증권 주식계좌 개설하고 축하금 5천원 받기(카카오뱅크) 증권사들이 고객 유치하기 위해 개설금을 준다거나 주식 1주를 주는 이벤트를 많이 하는 것 같다. KB증권에서 주식계좌 만들면 개설 축하금 5천원을 준다는데 바로 시작.. ㅋㅋ 카카오 뱅크 들어가서 하단에 있는 ... 점 3개 → 증권사 주식계좌에 들어가면 KB증권 말고도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도 이벤트 중이다. 난 현금으로 5천원 받을 수 있는 KB증권을 개설했다. 주식계좌 개설하기 눌러서 약관에 동의하고 KB증권 주식계좌와 연결할 카카오뱅크 입출금 계좌를 선택한다. 신분증 촬영이랑 주식계좌 비밀번호 만들면 간단하게 계좌 개설 신청이 끝난다. 신청 접수가 끝나고 주식계좌가 만들어지면 5천원이 입금될 것 같다. 증권계좌를 개설하려던 사람이라면 5천원 주는 이벤트가 있을 때 신청하면 좋을 것 같다. (2.. 2021. 5. 15.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