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준비를 위해 KB증권에서 IRP를 개설했다.
소득공제용 IRP(개인형) 계좌 개설하는 방법을 적어보자.
1. KB증권 어플을 깔고 로그인한다.
2. 개설하기 전 준비할 것은
① 본인 휴대폰이나 공동인증서
② 주민등록증
③ 온라인에서 조회 가능한 은행계좌(본인의 다른 은행 계좌)
3. 접속 경로
「 연금상품 > 퇴직연금/IRP > IRP 계좌개설 」로 들어가서 계좌를 만들면 된다.
4. 마지막 단계에서 한도 등록을 한다.
납입한도를 따로 관리하지 않는 이상 불입할 수 있는 한도가 얼마나 남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단 계좌 개설을 시도해 보고 한도부족이라고 나오면 타 금융기관의 한도를 줄이면 된다.
한도는 다른 금융기관 통틀어 18,000,000원이다. 연금펀드든, 연금 ETF든 불입한도가 여유 있는 계좌에서 조정해 주면 된다.
5. 계좌 개설이 완료되면 2개의 계좌가 보인다.
① IRP 계좌 : 숫자 3으로 시작하는 계좌는 회사에서 주는 퇴직연금을 받을 때 수령하는 용도로 쓰는 계좌다.
② 소득공제용 : 숫자 8로 시작하는 계좌가 소득공제용으로 내가 돈을 불입할 수 있는 계좌다.
( 숫자 3으로 시작되는 계좌는 내가 돈을 입금할 수 없음 )
이제 소득공제용 계좌에 연말정산과 나의 노후를 위해 돈을 이체하면 된다. 상품은 나중에 매수해도 된다. 일단 이 계좌에 돈만 넣으면 소득공제받을 수 있다.
연금 받는 사람들의 얘기를 찾아보면 젊었을 때 미리 준비해두길 정말 잘했다고들 한다.
노년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이라도 조금씩 준비해두자.
오지 않을 것 같지만.
언젠가 반드시 노년은 찾아올테니 말이다.
'재테크 공부하기 > 차곡차곡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ETF 매수해보기 (0) | 2023.12.10 |
---|---|
키움증권에서 연금저축 계좌 개설하기 (0) | 2023.12.04 |
회사가 국민연금을 미납했다. 건강보험공단에 물어본 서류와 내용 적어보기 (3) | 2023.08.23 |
기업은행 퇴직연금 조회하는 방법 (0) | 2023.06.11 |
국민은행 IRP 해지하는 방법( 모바일 KB스타뱅킹, 인터넷 개인뱅킹 )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