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펀드가입 전 확인사항

 

1. 펀드 이름에 다 있다.

 

펀드 상품을 보면 이름이 꽤 길다. 그 이유는 펀드 이름 안에 담고 있는 내용이 많아서다. 

플러스 글로벌 리치투게더 증권자투자신탁 1 (주식) A
자산운용사 투자지역 투자전략 펀드 회차 펀드종류 비용체계

맨 앞에는 자산운용사의 이름이 붙고 어느 지역에 투자하는지, 투자전략은 어떤지를 나타낸다.  숫자는 펀드의 회차를 말하고, 그다음은 주식형인지 채권형인지 종류를 말하고, 마지막엔 비용체계를 나타낸다. 

펀드명에 핵심내용이 압축됐다고 생각하면 되고 펀드 상세내역에 더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2. 펀드 가입시 뭘 봐야 할까? 

 

펀드 가입시 몇 가지 살펴봐야 할 것은 설정액, 평가등급, 보수, 수익률, 벤치마크 등이 있다.

 

펀드상세설명
한국포스증권 펀드 예시  참고화면

① 운용규모(설정액) : 100억 원의 규모인지 보고, 너무 작은 규모의 펀드는 피하는 것이 좋다. (소규모 50억 원) 작은 규모의 펀드는 관리가 잘 되지 않는 펀드일 수 있고, 운용규모가 점점 작아지는 것도 피해야 한다.

 

② 수익률 : 큰 등락 없이 꾸준히 상승하는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본다. 단,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에도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준다는 보장은 없으니 맹신하면 안 된다.

 

③ 평가등급 : 펀드 평사가에서 펀드의 등급을 부여하는 것인데, 태극무늬가 많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얘기다.

 

④ 보수 : 위 그림에 펀드명 끝에 S가 붙어 있는데 이 클래스는 펀드슈퍼마켓(한국 포스 증권)에서만 판매되는 펀드를 뜻한다.  S클래스는 오프라인 타 클래스보다 수수료가 3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한 보수가 큰 장점이다.   

 

펀드그래프
한국포스증권 벤치마크(비교지수) 비교 그래프 

⑤ 벤치마크 : 펀드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비교대상을 벤치마크라고 한다. 예를 들면 국내 주식형 펀드는 일반적으로 코스피지수(종합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삼고 있다. 종합주가지수란? 그 나라의 경제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1980년 1월 4일 기준지수가 100이었는데 현재 종합주가지수가 3,000이라면 전체 주식의 총가격이 1980년 1월 4일보다 30배가 올랐다는 뜻이 되는 거다.  간단히 코스피지수(종합주가지수)는 오르는 게 좋은 거라고 생각해두면 쉽다. 경기가 좋고 수출이 잘 돼서 기업들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벤치마크 지수(=비교지수)랑 펀드 수익률이랑 비교할 때 편차 폭이 클수록 벤치마크 대비 수익률이 좋았다는 것을 말한다. 


그냥 누가 꼭 짚어서 '이거 가입하면 돼'라고 알려주면 참 좋겠다. 검색하고 고민하다 며칠 까먹은 적이 여러 번 있다.  가입하는 것도 타이밍이 참 중요한데 말이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