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산재 보수총액 신고하기
연말정산이 끝나고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이 끝나면 건강보험, 고용산재 보수총액 신고도 해야 한다. 고용산재 보수총액신고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제출기한은 3월 15일까지다. 신고기한은 끝났지만 내년에 헤매지 않기 위해 쓴다.
< 고용산재 보수총액 신고하는 방법 >
1. 더존에서 고용산재 보수총액 신고서 출력하기
작년 2023년도 기수로 들어간다.
경로 ) [인사급여 > 사회보험관리Ⅱ >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서 > 사업장 선택 > 조회 > 확인] 누르면
아래의 그림처럼 직원별로 보수총액이 뜬다.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서 상단 메뉴에서 [공단마감 > 공단신고]를 해도 된다.
하지만 뜬 내역을 전부 신고하는 게 맞는지, 빼야 할 대상은 없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다. 그래서 [고용산재토털서비스]로 들어가 보수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신고했다. 이 홈페이지에서는 신고해야 할 대상자만 불러와지기 때문이다.
더존 보수총액신고서를 출력한다.
2. 신고하기 전 보수총액 맞는지 확인하기
2023년도 연말정산 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의 16번 총급여액과 일치하는지 비교해 본다. 비과세를 뺀 금액으로 보수총액을 신고한다. 다만 중도입사자는 현 근무지의 근로소득 금액으로 신고한다. 신고서 출력물에는 현근무지의 소득만 기재되어 있을 건데 16번 금액과 다를 수 있다. 종전 근무지의 소득이 있으면 합해져서 보이기 때문이다.
금액이 맞다면 전자신고한다.
3. 고용산재토탈서비스 전자신고하기
[고용산재 토탈서비스]로 접속하여 사업장 로그인한다.
경로) 민원접수 > 보수신고 > 보수총액신고 메뉴로 들어간다.
① 작성방식 선택 : 화면입력방식 체크한다.
② 사업장관리번호 : 사업자등록번호 + 0 (숫자)을 붙이고 돋보기 누른다.
③ 작성자명, 연락처 기재한다.
④ [보수총액신고대상자 자료조회] 누르면 화면 하단에 입력할 대상자가 뜬다.
⑤ 빨간색으로 표시한 (산재) 연간보수총액, (고용) 연간보수총액란에 금액을 입력한다. 법인의 대표는 신고대상에서 제외되는데 내역에 뜬 사람들만 입력해 주면 된다.
⑥ 위 그림에서는 해당되는 사항이 없어 입력하지 않았다.
⑦ 정산보험료 일시납을 원해서 [일시납 신청] 체크한다.
⑧ 충당 신청에도 동의한다.
단계별로 [ 임시저장 > 신고자료 검증 > 접수 ]하면 신고가 끝난다. 신고완료 후 보수총액신고서를 출력해 둔다.